24일 아침시장 동향에 대해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전통 금융]
NY 다우: 33,153달러 +0.3%
나스닥 : 11,590달러 +0.7%
미국 달러 지수: 104.5-0.02%
미국 국채 10년 : 연 이율 3.88 – 0.8%
금 선물 : 1,829달러 -0.63%
[암호화폐]
비트코인: 23,932달러 -0.82%
이더리움: 1,652달러 +0.67%
오늘 뉴욕 다우존스는 한때 250달러 가까이 하락했다가 종반 들어 환매되며 플러스로 돌아섰다. 나스닥과 S&P500도 반발했다.
지난 밤 미 상무부가 발표한 미 실질 국내총생산(GDP) 개정치는 속보치인 2.9%에서 하향 조정됐지만,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핵심 개인소비지출(코어PCE)은 속보치인 3.9%를 넘어 4.3% 상승했다. 미 GDP를 견인하는 개인소비의 성장은 전 분기부터 크게 둔화해 왔지만, 미 연준이 물가의 기준으로서 가장 중시하는 코어 PCE가 속보치보다 상승한 모습이다.
또 노동시장은 여전히 절박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지난주 신규 실업보험 신청 건수는 예상외로 감소해 3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 미10-12월 분기 GDP(개정치): 결과 2.7% 예측 2.9% 전기(수정) 3.2%
– 미10-12월 분기 개인소비(개정치): 결과 1.4% 예측 1.9% 전기(수정) 2.1%
– 코어PCE연율(개정치):결과 4.3%예측 3.9%전기(수정) 3.9%
– 신규 실업보험 신청건수 전주분 : 결과 19.2만건 예측 20.0만건 전회(수정) 19.4만건
[FOMC 의사록]
23일 아침 발표의 1월 31일~2월 1일에 연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회의록 내용으로부터 금리 인상의 조기 종료에의 관측은 후퇴. 당시 회동에서는 거의 전원이 지난해 12월 회동에서 결정한 0.5%에서 0.25%로 금리 인상폭을 늦추는 데 동의했지만 0.5%를 지지하며 지속적인 통화긴축을 주장하는 강경파의 존재도 뿌리 깊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금리인상폭 축소를 지지한 당국자들은 미국의 경기후퇴 리스크를 우려했지만 FOMC 이후 기대 이상인 1월 고용통계와 예상을 뛰어넘는 1월 CPI·PPI 등 견조한 경기지표 발표가 잇따르자 일부 시장참여자들은 3월과 5월 0.25%포인트 인상 후에도 6월에도 0.25%포인트 금리인상을 실행하는 시나리오가 있을 것으로 우려하는 눈치다. 지난번 FOMC 회동 후 파월 의장은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 둔화) 프로세스가 시작됐다고 밝혔으나 인플레이션 목표 2%를 향해 착실히 나아갈 수 있도록 2월 CPI 등을 토대로 인플레이션 상승 리스크를 재평가할 것으로 보인다.
FOMC 당국자들의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닷차트’의 연말 정책금리 중앙값이 12월 시점 5.1%에서 최대 5.6%까지 인상된다는 지적도 있다. 차기 FOMC는 3월 21 ~ 22일 개최 예정이다.
덧붙여 오늘 밤은 이하의 경제지표를 앞두고 있다.
– 24일 22시 30분(금) : 미국 1월 개인소비지출(PCE 디플레이터)
– 24일 24시(금):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2월 확보치
[미국 주식]
GPU 제조업체 엔비디아는 전일 마감 후 결산을 발표해 2~4월(1분기) 매출액에서 강세 전망을 나타낸 것이 호감을 받아 전일 대비 +14%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1주 이익은 예상을 웃돌았지만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PC용 반도체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채트 GPT 등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이 회사 제품에 대한 수요를 끌어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비트코인 매매 앱 CashApp등을 제공하는 Block Inc(구 스퀘어)는 BTC의 4분기 매상 총이익이 -25%감소해 3,500만달러가 되었다고 발표. 비트코인 총 판매액은 18억3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했다. 한편 회사 전체 매출 총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16억6,000만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주가는 시간 외에 +7% 상승하고 있다.
개별 종목 전일 대비로는 엔비디아+14%, c3.ai+2.2%, 빅베어.ai-0.3%, 블록+1.6%, 테슬라+0.6%, 마이크로소프트+1.3%, 알파벳 -0.8%, 아마존+0.03%, 애플+0.3%, 메타+0.5%.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관련주(전일대비/전주대비)]
코인베이스|62.3달러(+1.9%/-4.4%)
마이크로스트래티지|265.7달러(-1%/-9.6%)
아르고 블록체인 | 1.68달러(+3%/-9.2%)
코인베이스에 대해서는 어젯밤 이더리움(ETH)의 독자적인 L2 네트워크 「Base」를 발표한 것이 재료가 된 것 같다. Base는 코인베이스가 롤업 구조로 가동되는 ‘Optimism’의 기술을 바탕으로 런칭하는 L2로, 현 단계에서는 테스트넷이 가동되고 있다.
[암호화폐 관련]
호주 바이낸스는 일부 큰손 투자자의 파생상품 거래를 폐쇄한 것으로 보도됐다. 이 회사는 언론에 투자자의 온보딩 프로세스에서 계정 정보 불일치가 발각된 것이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틱톡은 웹3 음악 플랫폼 아우디우스와 연계해 틱톡 사용자가 틱톡 계정에서 오디우스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오디우스 사용자들은 틱톡에서 오디오 음악 공유를 할 수 있다.
폴리곤은 롤업 기술개발기업 이클립스와 손잡고 솔라나(SOL)의 버추얼 머신과 호환되는 L2 네트워크 폴리곤 SVM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폴리곤 SVM은 솔라나 기반의 dApps나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하는 것으로 폴리곤은 폴리곤 SVM을 가지고 솔라나용으로 사용자 기반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 비트코인 차트 분석 모음 – https://coinkid.kr/category/비트차트관점(무작위)
■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바이비트 선물 거래소 수수료 할인받고 가입하기 [이동]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