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암호화폐에 법정통화나 공식통화 지위를 부여하면 국가의 통화주권과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를 크립토슬레이트가 23일(현지시간) 전했다.
2월 23일 발간된 “암호화 자산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 요소”라는 제목의 논문에 따르면, 유엔 금융기관은 이것이 암호화 자산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을 만드는 9가지 요소 중 첫 번째 요소로 간주한다
IMF는 암호화폐에 공식 화폐나 법정통화 지위를 부여하는 것도 금융 안정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움직임은 전통적인 금융기관들의 이러한 변동성 자산에 대한 채택과 노출을 증가시켜 그들의 위험을 크게 높일 것이기 때문이다.
IMF는 국가가 암호화폐에 이 같은 지위를 부여하는 경우 정부가 공식 결제에 사용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변동성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암호화폐에서 법정화폐로의 전환을 보장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암호화폐로 인용되고 운영이 국영기업에 의해 처리될 경우 정부 수입은 높은 변동에 취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IMF는 신뢰할 수 있는 국내 제도와 정책의 부족은 국가의 통화 안정과 국내 약세가 종종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운명을 외화로 바꾸게 할 때의 첫 번째 방어선이라고 말했다. 이 문제는 사람들이 이제 달러나 유로와 같은 다른 화폐 통화에 비해 신뢰할 수 없는 화폐를 암호화폐로 점점 더 많이 변환하고 있기 때문에 암호 화폐의 출현으로 더욱 악화된다.
암호화폐에 대한 법정화폐의 대체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더 강력한 기관을 구축하고 전통적인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견고한 정책을 만드는 것이라고 IMF는 추정한다. 확실한 통화정책 프레임워크(MPF)를 만드는 것은 신뢰성을 보장하는 첫 번째 단계이다.
국회는 국민들이 정책과 그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MPF가 투명하고 일관성 있고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IMF는 이것이 “시장의 기대를 고정시키고, 통화 대체를 억제하며, 통화 정책의 효과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논문은 주권 국가와 중앙은행이 효과적인 정책 결정과 암호화폐 규제를 위해 고려해야 할 다른 8가지 사항을 강조한다.
그것은 각국이 과도한 자본 흐름으로부터 보호하고 효과적인 조치를 통해 적절하게 자본 흐름을 관리할 것을 촉구했다. IMF는 암호화폐 자산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자산에 대한 과세는 “분명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IMF는 또 각국이 암호화폐 자산을 중심으로 ‘법적 확실성’을 확립하고 필요에 따라 위험을 선제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들은 기관 간의 공동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부문의 시기적절하고 효과적인 규제를 보장해야 한다.
마지막 세 가지 요소는 규제 기관과 주권자 간의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IMF는 각국이 암호화폐 자산이 다른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암호화폐 유틸리티가 전통적인 금융 솔루션과 명성을 능가하는 핵심 분야 중 하나인 만큼 국경을 넘나드는 결제를 개선하기 위한 디지털 인프라와 대안 솔루션 개발에 글로벌 협력을 촉구했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 비트코인 차트 분석 모음 – https://coinkid.kr/category/비트차트관점(무작위)
■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바이비트 선물 거래소 수수료 할인받고 가입하기 [이동]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