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category 코인베이스, 기업용 지갑 서비스 출시

코인베이스, 기업용 지갑 서비스 출시

코인베이스는 8일 기업들이 디지털 지갑을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Wallet as a Services(WaaS)를 발표했다. 이를 코인포스트가 9일 전했다.

게임, 소매, 소셜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이 Web3 사업에 참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고 한다.

‘WaaS’는 확장 가능하고 안전성이 높은 온체인 월렛 인프라 API로 기업은 용도에 맞게 설정을 맞춤형으로 할 수 있다.

기업은 자사 앱 내에서 직접 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채택 사례로 코인베이스는 게이머들이 게임 내 NFT 아이템이나 자체 통화를 교환하는 장면, 토큰베이스 보상 등 새로운 로열티 프로그램 설치 등을 꼽았다.

사용자 측도 일반 앱에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것만큼 간편하게 인증을 하고 지갑을 개설하거나 이에 접근하거나 복원할 수 있다. 암호화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손쉽게 웹3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다.

또한 ‘WaaS’로 작성된 지갑은 고급 멀티파티 계산(MPC)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있으며, 여러 파티 간에 키를 안전하게 분할, 암호화, 배포함으로써 사용자 자산을 안전하게 유지한다.

이는 최종 사용자와 코인베이스 사이에서 지갑 키를 분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해킹 등 위험에 처했을 경우에도 지갑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형태다. 또한 자동 백업을 통해 최종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지갑의 키는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 Web3란 : 현재의 중앙집권체제 웹을 Web2로 정의하고 블록체인 등을 이용해 비중앙집권형 네트워크를 실현하는 시도를 가리킨다. 대표적인 특징은 암호화폐 지갑을 이용한 dApps 접근 등 블록체인을 비롯한 분산형 네트워크의 사용 사례가 있다.

[‘Base’와 ‘WaaS’의 선순환]

코인베이스 웹3 개발자 플랫폼 책임자 패트릭 맥그리거는 ‘WaaS’는 코인베이스가 지난 2월 발표한 ‘Base’와 어떤 의미에서는 짝을 이루는 것이라고 말했다.

Base는 코인베이스 자체 이더리움(ETH) L2 네트워크다. 안전하고 저렴하며, 개발자도 사용하기 쉬운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인베이스는 앞으로 수십억 명의 사용자를 암호화폐 경제권으로 끌어들이려면 많은 사람들이 쉽게 dApps(분산형 앱)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발자들이 지금보다 쉽게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맥그리거는 ‘Base’는 Web3에서의 액티비티 증가를 가져올 것이며, 그로 인해 지갑의 수가 늘어난다고 말했다. 또 지갑이 늘어나면 이번에는 더 다양한 웹3 사례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선순환이 생긴다는 식이다.

맥그리거는 이하와 같이 계속했다.

“‘Base’와 ‘WaaS’는 각각 독립된 상품이지만, 그럼에도 고객이 될 전망이 있는 기업 중 상당수가 어느 한쪽뿐만 아니라, Base와 WaaS를 모두 포함하는 패키지 제품을 검토하고 있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비트코인 차트 분석 모음https://coinkid.kr/category/비트차트관점(무작위)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바이비트 선물 거래소 수수료 할인받고 가입하기 [이동]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