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컴퓨터 구축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디피니티(Dfinity)는 비트코인(BTC)에 1:1로 뒷받침된 자체 토큰 ckBTC(Chain-Key Bitcoin)가 정식 출시됐다고밝혔다. 이를 코인포스트가 4일 전했다.
ckBTC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인터넷컴퓨터(IC) 상에서 비트코인을 활용하기 위한 토큰. IC상에서 DEX(탈중앙화거래소)에서 비트코인 통화쌍을 제공하거나 자금조달을 비트코인으로 하거나 Web3 SNS로 채팅을 통해 사토시(satoshi)를 송금할 수 있게 됐다고 Dfinity는 용도를 소개하고 있다.
※ satoshi란: 비트코인의 최소통화 단위를 말한다(0.000001 BTC=1 Satoshi). 명칭은 비트코인의 기술논문 저자인 정체불명의 인물, 혹은 단체인 ‘사토시 나카모토’에서 유래했다.
Dfinity는 발표의 서두에서, 2022년은 DeFi(탈중앙화금융)나 브릿지에 있어서 어려운 해가 되었다고 설명. 크로스체인 브릿지는 해커들의 표적이 돼 사용자 자산이 보관하고 있는 중앙집권적 스토리지가 노렸다고 과제를 지적했다.
이러한 과제를 바탕으로 ckBTC는 기존 솔루션인 브리지나 랩드 토큰과 차별화할 수 있도록 설계. IC는 2022년 11월 이후 브릿지나 중개자 없이 비트코인 블록체인과 접속할 수 있게 돼 있다. Difinity는 현재 상황을 IC와 비트코인은 마치 하나의 블록체인 것처럼 매끄럽게 연결하고 있다고 표현했다.
※ 랩드 토큰이란 : 암호화폐를 다른 블록체인 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체 토큰.기본적으로 가격은 원래의 암호화폐와 연결된다.
이 때문에 ckBTC의 발행이나 상환에는 브리지나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프로바이더, 중앙집권적인 커스터디언이 필요하지 않으며 누구나 검증 가능한 상태에서 발행과 상환을 할 수 있다고 했다.
이외에도 비트코인보다 낮은 수수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ckBTC의 특징. Dfinity는 수수료를 낮추거나 처리를 빠르게 하거나 확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ckBTC에는 레이어2 기능을 도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ckBTC의 발행이나 상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본인 확인이 필요. 이는 범죄에 연루된 비트코인이 IC 상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스케이스의 확대]
비트코인은 최근 결제 수단이나 투자 이외의 유스케이스도 주목받고 있다. 은행에 대한 신용위험이 높아지면서 자산으로서의 매력이 재인식되고 있지만 올해 1월 NFT(대체불가토큰)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오리지널 프로토콜(Ordinals Protocol)이 출시되면서 새로운 사용 사례가 관심을 끌고 있다.
또 지난달에는 비트코인에 스마트 컨트랙트 레이어를 제공하는 스택스(STX)의 자산가격이 급등했다. 스택스의 디파이 생태계 종목도 동반 상승하며 비트코인 유스케이스가 재검토되는 가운데 디파이 플랫폼으로 이용되는 스택스도 주목도가 높아졌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