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더, 시그니처 은행 통해 바하마로 송금

암호화폐인 미국 달러화 스테이블코인 USDT를 발행하는 테더사는 시그니처 은행을 통해 미국에서 바하마로 달러 자금을 송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가 5일 관계 소식통의 정보를 인용해 보도했다.

테더사는 고객들에게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하는 데 시그니처 은행 결제 플랫폼 시그넷을 통해 바하마에 거점을 둔 제휴은행 캐피탈 유니온뱅크에 미국 달러를 송금하고 대금을 지급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미 재무부에서 고위 집행관을 맡고 있던 Alma Angotti는 「이러한 거래는 위법에 해당하지 않는다」라고 한 다음, 다음과 같이 추측했다.

“만약 시그니처 은행이 테더사에 의한 이러한 합의를 알고 있었고 허가했다면, 그것은 동행이 높은 위험 허용도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할지도 모른다.

시그니처 은행은 이런 구조를 알고 있었지만 테더사에 예금계좌를 직접 제공하는 것보다는 리스크가 낮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

시그니처 은행 Joseph J. DePaolo CEO는 이전에 ‘암호화폐 섹터와의 관계는 미국 달러 예금에만 한정’됐으며 ‘투자, 거래, 보유, 커스터디’ 등 기타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테더사의 코멘트]

한편 테더사는 당사가 이용하는 은행은 어느 것이든 여러 제휴은행과 카운터파티에 접속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또, 테더사의 Paulo Ardoino 최고 기술 책임자도 5일, 보도를 받고 재차 「내가 3월 12일에 말했듯이, 테더사는 시그니처 은행에 대해 직간접적인 익스포저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라고 발언. 테더사가 “리스크 관리를 잘 하고 있었다”고 강조하고 있다.

※ 익스포저란 : 투자자나 기관이 보유한 금융자산 중 가격 변동 리스크나 카운터파티 리스크 등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금액이나 잔액, 비율을 말한다.

[은행과의 연계를 주시하는 미 정부]

미국에서는 특히 FTX 파탄 이후 정부기관들이 은행과 암호화폐 섹터의 연결고리에 대해 주의를 당부하고 있는 중이다.

미 연준 등 3개 미 당국은 1월 은행의 암호화폐 관련 익스포저를 주의 깊게 감시해 나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업계 참가자가 사기나 부정을 저지를 위험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가격 변동) 크기 스테이블코인이 폭락했을 때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을 보유한 은행 예금이 유출될 위험 등을 꼽은 형태다.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는 USDT 등 준비금을 갖는 것과 알고리즘 등으로 가격을 안정시키는 무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이 존재. 연준의 주의 환기 배경에는 2022년 5월 무담보형이던 옛 테라(LUNA) 생태계가 붕괴되면서 디페그가 발생한 것도 있다.

한편 테더사는 준비자산에 대해 최신 상황을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기업어음을 완전히 삭제하고 미 재무부 채권 등 안전성이 높은 자산을 늘리는 중이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