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암호화폐 7.21억 달러(약 9627억원) 상당을 북한에 해킹으로 부정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Elliptic(엘립틱)사와 공동 분석한 닛케이신문이 15일 보도했다.
이번에 조사한 것은 주로 거래소에서 암호화폐를 훔치는 해킹. 전체 피해 총액은 23억 달러(약 3조 712억원)이기 때문에 전체의 약 30%를 일본이 차지하는 계산이다. 두 번째로 많았던 베트남과 일본에 대해 엘립틱은 보안이 허술한 거래소가 많았기 때문에 노렸다고 보고 있다.
닛케이신문이 게재한 피해액 내역은 다음과 같다.
일본 : 7.21억 달러 (약 9627억원)
베트남 : 5.4억 달러 (약 7210억원)
미국: 4.97억 달러 (약 6636억원)
홍콩 : 2.81억 달러 (약 3752억원)
한국: 1.58억 달러 (약 2109억원)
슬로베니아 : 0.8억 달러 (약 1068억원)
엘립틱은 이번에 북한 정부가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해킹집단 라자루스가 사용하는 지갑에 암호화폐가 유출된 사업자를 거점별로 분류.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해 국가 및 지역별 피해가 드러나는 것은 처음이라고 닛케이신문은 보도했다.
피해를 당한 거래소는 세세하게 게재하지 않았지만 관계자가 일본 내에서는 적어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발생한 암호화폐 교환소 3사의 유출 피해는 북한에 의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 중 한 곳은 2018년 70억엔(약 687억원) 상당이 빠져나간 자이프라고 밝혔다.
[북한에 대한 대책]
암호화폐를 겨냥한 북한의 공격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문가 패널을 포함해 지금까지도 수없이 보고돼 왔다. 북한은 훔친 암호화폐를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 등에 이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달에는 미 재무부 외국자산관리국(OFAC)이 부정하게 얻은 암호화폐 송금 등으로 북한 자금 조달을 지원했다며 개인 3명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당시 테러금융정보담당 재무차관은 북한은 국제금융시스템에 접근해 암호화폐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부정한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으며 불법 대량살상무기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의 버팀목으로 삼고 있다.이는 국제적 안보를 위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시각은 미국뿐 아니라 일본 등 국가들이 공유하고 있다. 지난주 13일까지 진행된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공동성명에는 북한을 지목해 다음과 같이 기재했다.
“우리는 대량살상무기 확산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s)을 포함한 전례 없는 수의 탄도미사일의 최근 발사를 가능케 한 그 자금 조달과 관련된 북한의 부정한 활동이 가져올 위협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한다.”
또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북한에 국한하지 않지만 ‘확산금융을 위한 착취나 랜섬웨어 공격, 제재 회피 등을 포함한 특히 국가주체의 부정한 활동’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를 지지한다고도 기재했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