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암호화폐 시장동향 .. 비트코인 22400달러까지 하락 .. 미 스테이킹 관련 이슈 · ASTR과 GARI 일시 급등 등

9일 암호화폐 시장동향에 대해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203.27달러(-0.61%) 하락했고 나스닥은 -207.68달러(-1.68%) 하락했다.

미 연준 고위 관리에 의한 금융 긴축 국면의 장기화를 시사하는 매파 발언에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주말 발표된 미국 고용통계 결과에 따라 인플레이션 둔화가 이대로 순조롭게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투자자들이 의구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경기 악화 리스크가 의식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연준이 내세우는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노동시장이 얼어붙을 필요가 있지만 강한 고용통계는 잠재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을 시사하는 꼴이 됐다.

[암호화폐 시황]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은 전일대비 -3.20% 하락한 22,523달러를 기록했다.

BTC/USD 일봉

연조한 주가 지수를 계속 하락했다. 지난 4일 미국에서 격추된 중국 정찰풍선을 둘러싼 미중 갈등도 지정학 리스크를 높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연초부터 반등 기조에 있었으나 지난 2일 24,262달러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타고 있었다. 지난번 고용통계 결과도 감안하면 14일 CPI(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하한가를 찾아갈 가능성도 있다.

발밑에서는 알트코인 시세에 과열감도 나타나고 있던 것으로부터, 22,500달러 아래로 떨어져 조정 국면 진입이 의식되기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코인베이스의 암스트롱 CEO는 9일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가 미국의 개인 스테이킹 관련 서비스를 미국 증권법상 금지할 방침이라고 들었다”며 “만약 규제 대상이 되면 미국의 이노베이션(혁신적 신흥기술) 전망이 어둡다”고 경종을 울렸다.

암스트롱 CEO는 대형 암호화폐 투자기업 패더라임이 분석·고찰한 이더리움(ETH)이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 근거나 하위 테스트의 확대 해석을 의문시하는 해설기사를 실었다.

「향후 미국 내에서 신흥 기술이 자라지 않으면 금융 서비스 및 Web3 분야의 발전을 저해하고, (장래적으로는) 국가 안전 보장과 관련된 문제가 될 수 있다.」 「과잉 규제는 스타트업이 규제가 느슨한 해외에서 사업을 하는 것을 조장할 수 있어, (파탄난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 FTX와 같은 비극을 다시 초래할 수 있다」라고 위기감을 더했다.

SEC의 게리 겐슬러 위원장은 이전에 컨센서스 알고리즘 「PoS(지분증명)」를 기반으로 하는 스테이킹 가능한 암호화폐는 하위(Howey) 테스트에 있어서의 투자 계약에 해당해, 「유가증권법」의 대상으로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었다.

이더리움(ETH)은 지난해 대형 업그레이드 The Merge(더 머지)를 거쳐 PoW(작업증명)에서 PoS(지분증명)로 변경했다.

토큰의 유가증권성을 둘러싸고 XRP를 발행하는 미국 리플사가 2020년 12월 SEC(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제소당해 다투고 있다. 지난해 9월 약식재판 신청 외에 12월 최종 서류를 제출하는 등 재판은 마무리 국면을 맞고 있다.

[알트코인 시세]

알트시장 개별 종목에서는 Astar(ASTR)가 장중 한때 전날보다 40% 급등했다.

업비트 상장 발표가 호재가 됐다.

Astar(ASTR)의 아스터 네트워크는 일본발 퍼블릭 블록체인. 와타나베 소타 CEO가 이끄는 스테이크 테크놀로지스(Stake Technologies)가 개발을 주도한다.

상호 운용성 향상을 위해 서로 다른 블록체인끼리 연결하는 폴카닷(DOT)의 파라체인에 접속하기 위한 한정판(슬롯)을 세계에서 세 번째로 획득했다.

폴카닷 파라체인 중에서도 네트워크 신규 사용자 획득에서 월등히 뛰어나고 있으며, 아스타 네트워크에 접속한 지갑 주소 수는 전주 대비 946% 상승했다.

22년 10월에는, NTT 도코모가 아스터 네트워크(ASTR)를 다루는 스테이크 테크놀로지스와 Web3 보급을 목적으로 한 기본 합의를 체결. 그 다음 달에는 웹3 영역에 특화된 자회사를 설립해 향후 5 ~ 6년간 6000억엔(약 5조 7718억원) 규모의 투자 방침을 발표했다.

또 인도발 소셜비디오 앱인 칭가리(Chingari)의 네이티브 토큰인 가리 네트워크(GARI)가 전일대비 30.4% 급등했다.

앱토스(APT)가 9일 칭가리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한 것이 재료시되었다.

칭가리는 틱톡(TikTok)과 같은 쇼츠 무비 앱으로 월간 액티브 유저수(MAU) 약 4000만명에 달하는 등 인도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누린다.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Web3 패러다임 시프트의 선구를 목표로 GARI를 이용한 크리에이터 환원을 포함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실현을 도모한다.

2022년 1월에는 1,500만 달러를 자금 조달했다.

World Population Review의 조사에 의하면, 계속 증가하는 인도의 인구는 2030년까지 중국을 제치고 세계 제일이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의 인구는 2022년 9월 현재 14억 2000만 명이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비트코인 차트 분석 모음https://coinkid.kr/category/비트차트관점(무작위)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바이비트 선물 거래소 수수료 할인받고 가입하기 [이동]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