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인 이더리움은 머지(The Merge) 이후 지난 6개월간 거래소 공급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2022년 9월에 주요 업그레이드를 거쳤으며, 머지라는 이벤트에서 작업증명(PoW) 네트워크에서 지분증명(PoS) 네트워크로 전환되었다. 이를 코인텔레그래프가 15일 전했다.
암호화폐 분석업체 샌티멘트(Santiment)가 공유한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거래소에 있는 가용 ETH의 양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머지 이후 거래소의 ETH가 37% 감소했다. 거래소에서 공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거래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ETH가 적기 때문에 강세 신호로 간주된다.
머지 전인 9월 거래소에서는 총 1,912만 ETH, 313억 달러 규모의 거래가 있었다. 2월 둘째 주 197억 달러 규모인 1336만 ETH로 감소했다.

ETH 공급의 주요 부분이 자체 관리로 옮겨지고 있으며, 많은 거래자들은 또한 상하이 업그레이드를 앞두고 스테이킹을 선호한다. 이더리움의 이번 업데이트인 상하이는 3월로 예정돼 있다. 상하이 하드포크는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더 많은 개선안을 통합하고 스테이커와 검증자들이 비콘체인에서 예치 ETH와 보상 ETH를 출금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현재 비콘체인에는 전체 공급의 14%인 1600만 ETH가 락업돼 있다. ETH의 현재 가격으로는 약 250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상하이 하드포크 이후 점차 유동적이 될 상당한 금액이다.
거래소에 보유된 ETH 공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 외에도, ETH의 전반적인 시장 공급 또한 런던 이후 디플레이션 업그레이드로 전환된 이후 감소하고 있다. 디플레이션 모델은 이더리움 개선 제안(EIP)-1559를 통해 도입된 수수료 소각 메커니즘에서 비롯된다.
2021년 8월 런던 업그레이드 이후 총 290만 ETH가 소각되었으며, 현재 가치로는 45억 달러로 추정된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 비트코인 차트 분석 모음 – https://coinkid.kr/category/비트차트관점(무작위)
■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바이비트 선물 거래소 수수료 할인받고 가입하기 [이동]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