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암호화폐 시장동향 .. 이더리움 급등 11개월만 수준의 2100달러대에 · 이더 스테이킹 동향

14일 암호화폐 시장동향에 대해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주가는 전일대비 383달러(1.14%) 올랐고, 나스닥지수는 236포인트(1.9%) 상승 마감했다.

3월의 미 생산자물가지수(PPI)의 성장이 시장 예상을 밑돌고 인플레이션 둔화가 확인됨에 따라, 통화긴축 페이스의 감속이 의식되었다.

[암호화폐 시황]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은 코인마켓캡 기준 전일대비 +2.18%상승한 30,754달러.

BTC/USD 주봉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고공행진(통화 약세)과 대형 은행의 파탄에 기인한 신용불안,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지정학 리스크 등의 영향으로 자금 도피처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대체자산으로 금(골드)과 비트코인(BTC) 시세에 힘입은 바 있다.

외환시장에서는 위험성 자산과 역상관하는 달러지수(DXY)가 102선 아래로 떨어지는 등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며 지난해 역사적인 달러화 강세 국면에서 반전됐다.

이더리움(ETH)은 전일대비 +10.24% 급등했다.

ETH/USD 일봉

1ETH=2100달러대는 지난해 8월의 최고가 2080달러를 웃도는 수준. 지난해 5월 발생한 테라(LUNA) 쇼크 이후 처음이다.

대형 업그레이드 상하이(Shapella)가 성공한 데다 잠금 해제로 매도 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예상에 따라 증가 추세였던 숏포지션과 보유고 조정 후 환매가 반등을 가속화한 것으로 보인다.

선물시장에서는 급등 국면에서 숏 스퀴즈도 확인됐지만 연초 이후 세 번째 정도 규모에 그쳤다.

Funding Rate(자금조달률)는 평평해 특별히 과열감은 보이지 않는다.

Blockworks Research의 애널리스트인 Matt Fiebach는 「약 1800만 ETH(340억 달러)의 ETH가 반유동적이 된다고 하는 경계감도 있는 가운데, 익스포저를 헤지 가능한 파생상품은 복수 있었다」라고 지적. 시장은 이미 앞의 전망을 포함하고 있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토큰언락스 데이터에 따르면 상하이 업그레이드 후 첫날 비콘체인에서 출금된 ETH 중 95% 이상이 스테이킹 보상분이었다.

이는 발리데이터 인출 행동을 뜻하는 완전 출금이 아니라 많은 사용자가 누적 보상만큼 인출하는 부분 출금을 선택했다는 의미다.

이더리움 개발자는 급격한 네트워크 불안정을 피하기 위해 1일당 해제 가능한 발리데이터 수에 ‘1,800(변동 있음)’ 제한을 두고 있다. 발리데이터 조건인 32 ETH를 감안하면 57,600 ETH에 해당하는데 이는 공급량의 0.05% 미만 수준에 불과하다.

온체인 데이터에서는 샤펠라 이후 신규 입금 수 96,000 ETH가 확인되더라도 약 하루 만에 스테이킹 잔액은 121,170 ETH 순감하고 있어 상응하는 매도 압력은 인정된다.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 관계자는 “머지(The Merge)와 샤펠라 업그레이드 영향으로 이더리움 스테이킹에 대한 기관투자자들의 관심 증가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향후 몇 주 안에 출금 수를 훨씬 웃도는 유입으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자신했다.

근거로는 스테이킹 버티컬의 신뢰성이 높아지면서 출금 및 자금 구속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불식된 데 있다.

스테이킹을 하면서 대체 토큰으로 자산운용이 가능한 리퀴드 스테이킹 파생상품(LSD)의 시장 규모도 최근 성장세가 뚜렷하다. 스테이킹된 ETH 중 약 60%가 스테이킹 파생상품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DeFi Llama의 데이터에 의하면 LSD 시장 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Lido Finance의 예치 총액을 나타내는 「Total Value Locked(TVL)」는 연초부터 90%이상 증가해 125억 달러로. Rocket Pool은 112% 증가한 9.7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년래의 ETH 보상을 회수한 많은 스테이커는 새로운 이율 획득을 위해, Lido나 Fax등의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바이더에의 재스테이크에 의욕적인 것으로 상정된다. 한편 ETH2.0부터 언스테이크 가능해진 것은 강제 잠금분을 활용하는 분산형 스테이킹 프로토콜 「Lido」의 우위성을 낮추는 것을 의미하므로 경쟁률의 격화에 따른 판도의 변화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암호화폐 자산 데이터 프로바이더 Nansen에 의하면 출금 요청 큐(queue)에 잠긴 833,000 ETH 중 2/3 이상이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으로부터의 것이었다. 크라켄은 금년 2월, 미 SEC(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무등록 유가증권으로서 제소를 받아 미 고객 전용의 스테이킹 서비스 폐지를 피할 수 없게 되었지만, 출금 리퀘스트의 실장을 기다리고 있었다.

크라켄의 참가자는 스테이킹 계속 희망자를 포함해 강제 해제되는 꼴이 되므로, 재스테이킹율은 높다는 견해가 있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