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은 8일 테스트넷 Zhejiang(저장)에서 스테이킹된 이더리움 출금을 처리했다. 이를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전액과 일부 금액의 출금을 「epoch 1350」의 타이밍으로 처리해, 파이널라이즈도 실시. 이는 이더리움이 실시 목표를 다음 달로 정한 차기 업그레이드 Shanghai/Capella(이하 상하이)를 위한 테스트다.
※ 스테이킹이란 : 소정의 기간,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예치하는 것으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구조. 블록체인 운영에 기여함으로써 대가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상기 트윗은, 이더리움 재단의 Barnabas Busa의 투고. 출금에 필요한 처리나 실제 출금이 무사히 이루어졌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현재 스테이킹은 할 수 있지만, 스테이킹한 이더리움이나 보상 인출은 아직 할 수 없다. 이 출금 기능 구현이 이뤄지는 곳이 상하이로, 현재 이더리움 개발자들은 테스트를 계속하고 있다.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현재 스테이킹되고 있는 이더리움의 수량은 1,640만 ETH(약 34조 7188억원) 이상. 출금기능의 구현은 단기적으로는 일정한 매도압력을 일으킨다는 견해가 있으나 자금 구속이 없어져 유동성이 향상되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스테이킹 수요를 환기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상하이에 대해서는 이달, 최소 3월 중순까지 실시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향후의 계획]
이더리움 재단은 7일,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팀의 멤버가 오스트리아에 모여 1주일간의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보고. 이 같은 워크숍은 지난번 업그레이드 The Merge(머지) 이전에도 진행됐다.
보고 중에 상술한 출금 기능을 포함해 개발자들은 지난 몇 달에 걸쳐 많은 신기능의 개발을 전진시켜 왔다고 설명. 현재는 스테이킹 출금 기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지만 개발자들은 이후 업그레이드 준비도 실시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상하이 이후 업그레이드도 거론했다.
이더리움의 프로토콜 서포트를 실시하는 팀 베이코에 의하면, 향후는 2월 중순에 Sepolia 테스트넷에서 상하이의 실시를 예정.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에 걸쳐서는, Goerli 테스트넷에서도 실장을 실시할 계획이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 비트코인 차트 분석 모음 – https://coinkid.kr/category/비트차트관점(무작위)
■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바이비트 선물 거래소 수수료 할인받고 가입하기 [이동]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