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아침 시장동향에 대해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전통 금융]
다우존스 : 34,089.27 달러 -0.46%
나스닥 : 11,960.15 달러 +0.57%
미국 달러 지수: 103.26 -0.09%
미국 국채 10년 : 연 이율 3.75 +0.9%
금 선물 : 1,866달러 +0.1%
[암호화폐]
비트코인: 22,243달러 +2.83%
이더리움 : 1,556달러 +4.65%
오늘 뉴욕 다우지수는 어젯밤 CPI 발표로 하락했지만 하락폭은 제한적. 나스닥은 속신장했다. 예상을 웃돈 인플레 지표가 되어 연준 금리인상 계속에의 관측이 높아져 달러 시세와 미 국채 이율은 상승했다.
1월의 미 CPI는 거의 예상대로이긴 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의 계속을 시사했다. 전년대비의 성장은 종합, 코어 지수 모두 예상을 약간 웃돌았다. 전월 대비로는 인플레이션 둔화는 지속되고 있지만 둔화 속도는 지난해 가을 이후 최소로. 주거비와 휘발유 상승은 CPI의 상승 요인이었다.
5월 이후 금리인상 정지에 대한 관측은 후퇴하고 있지만, 미 CPI 발표 후에 미 필라델피아 지구 연준의 하커 총재는 「개인적인 견해로서, 일련의 금리인상은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조만간 종료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지적했다. 또, 연준은 CPI 발표전의 스탠스를 변경하지 않았다는 견해도 있는 것 같다.
미국 골드만삭스 솔로몬 CEO는 어제 경기침체로 치닫고 있다는 전망이 잇따르는 가운데 CEO들의 공감대가 다소 비둘기파 방향으로 전환됐다며 지난 몇 달 새 기업 CEO들의 심리가 개선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았다고 밝혔다.
미 노동성의 노동 통계국(BLS)은 이번 1월의 CPI로부터 그 산출에 사용하는 가중치를 갱신했다. 주택의 가중치는 인상되었지만 운송과 식품의 중량은 모두 인하되었다. 또, BLS는 2021년부터의 소비자 지출 데이터를 이용해, 1년분의 데이터를 근거로 소비자 물가 지수의 웨이트를 매년 갱신하는 방법으로 변경. 2년분의 지출 데이터를 이용해 2년마다 가중치를 갱신해 온 종래의 관행을 변경하는 것이 된다고 한다.
또 13일 밤 발표된 뉴욕 연준의 미국 소비자들의 1월 인플레이션 기대 조사에 따르면 1년 뒤 인플레이션 기대율은 3개월 연속 전월을 밑돌았다. 3년 후까지의 기대치도 전회부터 저하해 2020년 10월 이래의 저수준이 되었다. 인플레이션 둔화 경향이 나타난 것이 투자가 심리 개선으로 이어진 모양이다.

한편 지난주 금요일 발표된 미국 미시간대 조사의 1년 앞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1월부터 상승했지만 지난해 상반기 수준을 크게 밑돌았다.
[2월의 중요한 경제 지표 일정]
15일 22시 30분 수요일: 미국 1월 소매 판매
16일 22시 30분(목) : 미 1월 생산자물가지수
23일 22시 30분(목) : 미 10~12월 분기 GDP 개인소비와 핵심 PCE 개정치
24일 22시 30분(금) : 미국 1월 개인소비지출(PCE 디플레이터)
24일 24시(금):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2월 확보치
[미국 주식]
미 IT 대기업 마이크로소프트는 어제 Xbox와 HoloLens, Surface 등 하드웨어 부문에서 617명 이상의 인력을 감축할 것으로 보도됐다. 회사 대표는 구체적인 언급을 삼갔지만 이 회사의 믹스드 리얼리티(복합현실) 사업에 대한 약속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 밖에 동사 산하의 비즈니스 특화형 SNS 「LinkedIn」도 구인 부문에서의 인원 삭감을 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월에도 1만명 상당의 정리해고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메타나 아마존 등도 정리해고를 진행하고 있는 배경으로부터, 금년의 IT·하이테크 대기업의 실적 리세션에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것 같다. 로이터에 따르면 리피니티 IBES 데이터를 토대로 한 현시점에서의 미 S&P500 지수 채용 주요 기업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기업 GPU 제조업체인 엔비디아는 속신장. 애널리스트들은 인공지능(AI)이 데이터센터의 장기적인 성장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며 목표주가를 올렸다. ChatGPT 등 AI 툴은 대량의 데이터를 순식간에 처리해야 함에 따라 이 회사가 제공하는 고성능 GPU와 데이터센터 관련 제품에 대한 주목이 높아지고 있다.
개별 종목 전일 대비로는 엔비디아+5.4%, c3.ai+10.2%, 빅베어.ai+5.8%, 테슬라+7.5%, 마이크로소프트+0.3%, 알파벳+0.07%, 아마존+0.16%, 애플 0.42%, 메타+0.02%, 코인베이스+4.6%, 실버게이트캐피털+18.1%.
■ 간편 복리 계산기 : https://coincode.kr/calculator (수정)
■ 텔레그램 소식방 https://t.me/coincodekr
■ 비트코인 차트 분석 모음 – https://coinkid.kr/category/비트차트관점(무작위)
■ 차트공부 – https://coinkid.kr/category/차트공부
※ 바이비트 선물 거래소 수수료 할인받고 가입하기 [이동]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는 이해하고 넘어가주세요.
[ 코인코드 (coincode.kr / coinkid.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